2025 윔블던 8강~결승: 테니스의 진수를 보여준 명승부들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윔블던 8강~결승: 테니스의 진수를 보여준 명승부들

by safetyman74 2025. 7. 12.
반응형

윔블던 우승 기념 사진

 

2025년 7월, 영국 런던의 올잉글랜드 클럽에서 열린 제138회 윔블던 테니스 대회는 명불허전 ‘테니스의 성지’라는 별칭에 걸맞은 경기들로 가득 찼다. 특히 남녀 단식 8강부터 결승까지는 전 세계 팬들의 눈과 귀를 사로잡으며 다시 한번 윔블던의 위상을 증명했다. 이 글에서는 남녀 단식 8강부터 결승까지의 주요 경기들을 중심으로, 주요 선수들의 활약과 명장면을 총정리해본다.


■ 남자 단식: 신구 강자의 대결 속 치열한 접전

▶ 8강전: 새로운 세대의 대약진

남자 단식 8강에서는 기존 빅 4 세대의 마지막 남은 슈퍼스타 노박 조코비치와 알카라스를 비롯해, 이탈리아의 야닉 시너, 덴마크의 홀게르 루네 등 젊은 신예들이 포진해 흥미로운 대진이 성사되었다.

가장 주목받은 경기는 "노박 조코비치(세르비아)"와 "홀게르 루네(덴마크)"의 맞대결이었다. 윔블던 7회 우승 경력의 조코비치는 1세트를 6-3으로 따냈지만, 이후 루네의 과감한 포핸드 위닝 샷에 고전하며 2세트를 타이브레이크로 내줬다. 하지만 조코비치는 특유의 집중력으로 3, 4세트를 다시 잡으며 3-1(6-3, 6-7, 6-4, 6-3)로 준결승 진출에 성공했다.

한편, "카를로스 알카라스(스페인)"는 지난해 우승자답게 강력한 서브와 역동적인 베이스라인 플레이를 앞세워 미국의 테일러 프리츠를 3-0(6-4, 6-3, 7-5)으로 완파하며 무난히 준결승에 안착했다.

또 다른 경기에서는 야닉 시너가 알렉산더 즈베레프와 풀세트 혈투 끝에 3-2(7-6, 3-6, 6-4, 4-6, 6-3)로 승리해 경기를 지켜보던 팬들에게 큰 감동을 선사했다. 남은 한 경기에서는 캐나다의 펠릭스 오제-알리아심이 프랑스의 움베르를 물리치고 생애 첫 윔블던 4강에 올랐다.

▶ 준결승전: 세대교체 신호탄

준결승전에서는 드디어 ‘현존 최강자’와 ‘차세대 강자’의 진검승부가 이뤄졌다. 알카라스 vs 시너, 그리고 조코비치 vs 오제-알리아심이라는 대진표가 완성됐다.

알카라스와 시너의 경기는 역대 윔블던 준결승 중 가장 빠르고 공격적인 플레이가 펼쳐졌다는 평을 받을 정도로 높은 수준이었다. 알카라스는 1세트를 시너에게 내줬지만 이후 강력한 리턴 게임과 전위 플레이로 흐름을 바꾸며 3-1(4-6, 6-3, 6-2, 7-6)로 결승 진출에 성공했다.

반면, 조코비치는 오제-알리아심과의 경기에서 부상 여파로 인해 움직임이 둔했고, 결국 5세트에서 허벅지 통증을 호소하며 메디컬 타임아웃을 요청했다. 오제는 차분히 자신의 페이스를 유지하며 생애 첫 윔블던 결승에 진출하는 기염을 토했다. 경기 스코어는 3-2(6-4, 3-6, 7-5, 2-6, 6-3).

▶ 결승전: 알카라스의 2연패

결승은 많은 팬들의 예상대로 카를로스 알카라스와 펠릭스 오제-알리아심의 맞대결로 진행됐다. 이 경기는 3시간 45분간 이어진 접전 끝에, 알카라스가 경험과 기량 모두에서 한 수 위임을 증명했다.

알카라스는 전매특허인 속공과 포핸드 크로스 샷으로 오제를 압도하며 3-1(6-3, 4-6, 7-5, 6-2)로 승리, 윔블던 2연패와 개인 통산 4번째 그랜드슬램 우승을 차지했다. 경기 후 그는 “윔블던은 내게 특별한 장소다. 이 순간을 영원히 기억하겠다”라고 밝혔다.


■ 여자 단식: 신데렐라 스토리와 대이변의 연속

▶ 8강전: 세계 1위의 탈락과 떠오르는 샛별

여자 단식 8강에서는 큰 이변이 발생했다. 세계 랭킹 1위인 "이고 시비옹텍(폴란드)"가 미국의 "코코 거프"에게 2-1로 패하며 탈락한 것이다. 경기 스코어는 3-6, 7-6, 6-2. 시비옹텍은 두 번째 세트에서 승기를 잡지 못하며 경기 흐름을 놓쳤고, 거프는 이를 기회 삼아 폭발적인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또 다른 경기에서는 체코의 "마르케타 본드로우소바"가 일본의 "나오미 오사카"를 상대로 놀라운 경기력을 선보이며 2-0(7-5, 6-4)으로 완승했다. 오사카는 돌아온 이후의 최고 성적을 냈지만 체력 문제로 고전했다.

▶ 준결승전: 코코 거프의 기적은 계속됐다

준결승전에서는 "거프와 본드로우소바", 그리고 튀니지의 "온스 자베르와 엘레나 라이바키나"가 맞붙었다. 거프는 본드로우소바를 상대로 강한 멘털을 바탕으로 2-1(4-6, 6-4, 7-6)의 짜릿한 역전승을 거뒀고, 자베르는 라이바키나를 상대로 침착한 플레이를 펼치며 2-0으로 결승 진출에 성공했다.

▶ 결승전: 온스 자베르, 역사 쓰다

7월 12일 펼쳐진 여자 단식 결승에서는 튀니지의 "온스 자베르"가 미국의 "코코 거프"를 2-1(6-4, 5-7, 6-2)로 꺾고 아랍권 선수로는 최초로 윔블던 우승을 차지했다.

자베르는 그간 윔블던에서 세 번이나 준우승에 머물렀던 아픔을 이겨내고 마침내 정상에 섰다. 경기 후 자베르는 “이 우승은 제 민족, 제 나라 전체의 승리”라며 눈물을 흘렸다. 한편 거프는 “비록 오늘은 졌지만, 앞으로 더 좋은 선수로 성장하겠다”라고 각오를 다졌다.


결론: 테니스의 아름다움, 윔블던에서 빛나다

2025 윔블던은 명실상부 ‘테니스의 월드컵’ 임을 다시 한번 입증한 대회였다. 알카라스의 왕좌 수성, 자베르의 눈물 어린 우승, 조코비치의 끝없는 도전 등은 전 세계 테니스 팬들에게 깊은 감동을 안겨주었다. 테니스는 단순한 스포츠가 아니라, 사람과 이야기, 그리고 역사로 이루어진 예술이라는 것을 느끼게 한 이번 대회를 끝으로, 우리는 또 다음 그랜드슬램을 기다리게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