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2025 US오픈 남자 단식 3라운드는 많은 팬들이 손꼽아 기다린 빅매치로 가득했습니다. 그중에서도 전 세계의 이목을 끈 경기는 단연  "노박 조코비치(세르비아)"와 "캐머런 노리(영국)"의 맞대결이었습니다. 한쪽은 그랜드슬램 우승 24회의 살아있는 전설이고, 다른 한쪽은 영국 테니스를 대표하는 끈질긴 전략가. 이 글에서는 두 선수의 플레이 스타일, 경기 기록, 승패를 가른 핵심 포인트 등을 중심으로 3라운드 경기를 심층 분석합니다.

     

     

    2025 US 오픈 3R 조코비치 vs 캐머런 노리
    2025 US 오픈 3R 조코비치 vs 캐머런 노리

     


    1 - 조코비치의 경기 운영과 체력 분배 전략

    조코비치는 이번 3라운드 경기에서도 ‘경기 지배자’라는 별명답게 전체 흐름을 컨트롤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1세트 초반에는 노리의 강한 백핸드 크로스를 의식한 듯 수비적인 포지셔닝을 유지했지만, 중반 이후 본인의 서비스 게임을 완전히 장악하며 주도권을 잡았습니다. 특히 첫 서브 성공률이 78%, 1st 서브 득점률이 85%에 달해, 본인의 서브 게임에서 거의 틈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조코비치는 체력 관리에서도 여유 있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2세트에서 상대에게 브레이크 포인트를 허용했을 때도, 과도한 추격보다는 길게 보고 체력을 분산시키는 전략을 택했습니다. 이로 인해 경기 후반까지 집중력을 잃지 않았고, 3세트 타이브레이크에서 압도적인 집중력으로 경기를 마무리했습니다.

     

    경기 후반 조코비치의 랠리 평균 타수가 증가한 점도 인상적이었습니다. 3세트 평균 랠리 길이는 8.2타, 이는 그의 수비와 공격의 밸런스를 얼마나 잘 유지했는지를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2 - 캐머런 노리의 반격과 전술적 시도

    캐머런 노리는 이번 경기에서 패하긴 했지만, 그가 보여준 전술적 시도는 매우 인상 깊었습니다. 특히 조코비치의 서브를 리턴하는 방식에서 변화를 줘, 2nd 서브 리턴 에이스를 두 차례 성공시키며 분위기를 반전시키기도 했습니다.

     

    노리는 전통적으로 롱 랠리에서 강한 면모를 보이는데, 이번 경기에서도 이 특성을 살리기 위해 전체적으로 라운드 베이스 라인에서 플레이하며 긴 랠리를 유도했습니다. 2세트 후반에서는 조코비치의 리듬을 무너뜨리기 위해 슬라이스와 드롭샷을 효과적으로 섞는 전략을 구사했고, 한 차례 브레이크에 성공해 세트를 따냈습니다.

     

    그러나 조코비치의 변화무쌍한 템포 조절과 리턴 능력 앞에서 노리는 3세트에서 흔들리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특히 언포스드 에러가 3세트에만 16개로 급증하며, 타이브레이크에서 집중력 저하가 그대로 패배로 이어졌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리의 강한 멘털과 지속적인 전술 변화는 향후 대회에서도 주목할 요소입니다.


    3 - 승패를 가른 3가지 관전 포인트

    이번 경기에서 승패를 가른 핵심 요소는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서브 게임의 안정성입니다. 조코비치는 전 경기 평균보다 높은 1st 서브 득점률(85%)을 기록하며, 자신이 서브하는 게임에서는 전혀 흔들리지 않았습니다.

     

    두 번째는 언포스드 에러 관리 능력입니다. 조코비치는 경기 전체를 통틀어 단 14개의 언포스드 에러만을 기록했으며, 반면 노리는 총 38개의 실책을 범했습니다. 이 차이가 경기의 흐름과 심리적 주도권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세 번째는 타이브레이크 상황에서의 집중력입니다. 조코비치는 3세트 타이브레이크에서 단 한 포인트도 내주지 않고 7-0으로 승리하며, 클래스의 차이를 분명히 보여주었습니다. 이 같은 결정적인 순간의 집중력은 그가 왜 여전히 최정상에 있는지를 다시 한번 증명했습니다.


    결론: 경험과 디테일이 만든 승리

    2025 US오픈 3라운드 조코비치 vs 노리의 경기는 단순한 스타 대결이 아니라, 기술과 전략, 경험이 만들어낸 완성도 높은 승부였습니다. 노리는 분명히 날카로운 전술과 강한 멘털로 팬들의 박수를 받았지만, 조코비치의 노련함과 경기 운영 능력은 여전히 누구도 쉽게 넘을 수 없는 벽임을 증명했습니다. 앞으로 조코비치가 대회 후반부에서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기대됩니다.

    반응형